
QUESTION
아이가 이번 겨울만 지나면 초등학교에 입학하게 되는데 제가 더 떨려요. 아이가 초등학교생활을 즐겁게 시작하려면 이번 겨울을 어떻게 보내는 것이 좋을까요?
아이 초등학교 입학 전 마지막 겨울을 어떻게 보내는 것이 좋을까요?

1. 초등학교에 대한 불안을 강화하는 행동을 멈춰주세요.
초등학교 입학을 두려워하는 아이들의 대부분이 공부에 대한 부담이나 친구들을 사귀지 못할 것에 대한 불안 때문입니다. 부모는 아이가 6, 7살이 되면 초등학교에 들어가서 글자 하나 제대로 읽고 쓰지 못하거나, 숫자 하나 제대로 셈하지 못해서 친구들보다 뒤처지고 무시당할까 봐 전전긍긍합니다. 그만큼 공부할 것을 강요하게 되고, 하고 싶지 않아 하는 아이를 몰아붙입니다. 예를 들면, ‘너 그러다가 친구들 다 글씨 잘 쓰는데 너만 못 쓰는 바보 된다!’, ‘너 수학이 얼마나 어려운 줄 알아? 지금부터 열심히 공부해야 해!’, ‘공부 못하면 친구들이 놀아주지도 않아!’라는 말 등으로 겁을 주곤 하지요. 부모는 이런 충격요법을 쓰면 아이가 더 열심히 할 것이라 기대하지만, 실제로 아이들은 부담만 커지고 자신감은 떨어지며 초등학교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만 갖게 됩니다.

2. 초등학교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심어주세요.
어떤 아이들은 학교라는 새로운 환경의 변화를 반가워하고 새로운 책과 학용품을 갖는 것을 기대하기도 합니다. 이런 아이들과는 아이의 기대를 그대로 물어봐 주고, 지지해 주고, 준비할 것들을 함께 이야기하며 스스로 준비할 수 있도록 돕는 과정을 가지면 됩니다. 하지만, 새로운 환경의 변화에 대해 불안감을 느끼고 스트레스를 받는 아이들에게 1번과 같은 충격요법은 아이를 오히려 불안으로 더욱 몰아붙이게 되어 전혀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낯설어서 갖는 불안감을 낮춰주시려면 학교에 대해 친근감을 느낄 수 있는 몇 가지 방법을 사용해 주세요.
3) 아이가 재미있어하는 활동을 직접 해보면서 학교에서는 이런 활동을 어떤 식으로 하게 될지 상상해 보게 함으로써 긍정적인 감정을 높여주시고, 아이가 다소 어려워하는 과목의 경우는, 아이가 할 수 있는 정도로 양을 조절해서 조금씩 연습해 보도록 해주세요. 입학 전에 완벽하게 준비시키는 것보다 입학 후 진도에 맞게 잘 따라갈 수 있도록 꾸준히 돕는 과정이 더 중요합니다.
3. 지금까지 잘 해왔던 아이의 긍정적인 모습을 보게 함으로써 자신감을 높여주세요.
학교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갖는 것만큼이나 중요한 것은, 아이가 학교생활을 잘 해낼 수 있을 것이라는 자신감을 갖는 것입니다. 아이의 자신감을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은 아이가 해낼 수 있을 것이라는 부모님의 믿음입니다. 믿음은 현재 아이의 부족한 모습에 초점을 두지 않고 미래의 가능성에 초점을 두는 태도입니다. 가능성에 초점을 두었을 때, 부모의 긍정적인 정서가 활성화되어 아이에 대한 긍정적인 피드백이 가능해지고, 아이가 해낼 때까지 기다릴 수 있게 됩니다. 자신을 믿고 기다려주는 부모님의 모습에 아이는 도전할 용기도 생기게 되지요.
관계에서의 자신감을 키우려면, 평소 아이가 친구나 선생님들과 어떤 관계를 맺어왔는지 생각하면서, 지금까지 잘해왔듯이 앞으로도 잘할 수 있을 것이라고 응원해 주세요. 관계에서는 힘의 균형이 중요한 만큼, 아이가 스스로 자신을 잘 지킬 수 있는 태도를 갖도록 도와주시고, 내가 중요한 만큼 친구들도 중요하기에 배려하고 존중해야 함도 가르쳐주세요. 간혹 아이가 대인관계 욕구가 크지 않고 혼자 놀기를 좋아하는 아이일 경우, 혼자 하고 싶은 활동에 대해 인정해 주시고 충분히 누리게 해주시되, 함께 해야 할 때가 있다는 것을 알려주셔서 적절한 선에서 욕구를 조절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하루가 다르게 멋지게 성장하는 우리 아이! 초등학교는 아이들이 주도적인 학습능력을 키우고 원만한 대인관계를 형성해 가는 것을 배우는 시간입니다. 이전보다는 한걸음 뒤에서 지켜봐 주시고 격려해 주세요. 자신을 믿어주는 부모라는 안전 기지를 가슴에 품고 자신 앞에 놓인 새로운 과업을 잘 해낼 수 있을 것입니다.
-
완벽하지 않아도 괜찮아요.


[심리/인성] 말을 잘하는 아이로 기르고 싶어요!

[심리/인성] 아이가 공부하기를 싫어해요

[심리/인성] 전업 육아하는 아빠, 잘해낼 수 있을까요?

[심리/인성] [0~3세] 우리 아이가 감각 교육을 잘 할 수 있을까요?

[심리/인성] 아이가 그림책 읽기를 싫어해서 걱정이에요.

[심리/인성] 초등학교 입학 전 겨울은 이렇게 보내세요

[심리/인성] 자꾸 물건을 떨어트리는 아이

[심리/인성] 동생이 태어난 후로 자주 떼쓰는 아이

[심리/인성] 갑자기 떼를 쓰며 자기주장이 강해졌어요

[심리/인성] 의욕이 없는 아이, 걱정이에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