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로그인 해주세요
닫기
전문가들의 부모교육에 대한 생각과 이야기
이선영 교수 - 창의적인 아이로 키우는 부모가 되려면?
부모공감2018.08.21조회 4786




 

 

부모라면 누구나 내 아이가 다른 아이보다 창의적인 인재가 되길 희망한다. 인공지능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그 어느 때보다 창의적 역량에 대한 관심이 부각하고 있는 요즘이다. 2015개정교육과정에서 역시 미래 사회 역량을 갖춘 능동적이고 창조적인 인재 육성을 지향점으로 하고 있다.

 

이에 부모공감에서는 창의영재 분야의 전문가인 서울대 교육학과 이선영 교수를 만나 창의성의 본질이 무엇인지, 어떻게 하면 자녀의 창의성을 기를 수 있는 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선영 교수 :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서울대학교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한 후 
                               미국 University of Georgia에서 교육심리(영재/창의성 교육) 분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창의영재 분야의 전문가로 언론 및 강연을 통해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I 창의성은 무엇인가요?

 

 

“ 창의성이란 남들이 생각하지 못하는 방식으로 사람이나 사물을 바라보고, 새로운 관점으로 무엇인가 생각하고

  만들어 내는 것이죠.”

 

이선영 교수는 창의성이 여러 가지 방식으로 정의될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아하!”라는 느낌을 줄만큼 놀라움을
자아내는 새로운 무언가를 생각하고 만들어내는 것이 창의성의 본질이라고 말하며, 기존의 방식을 따라하거나
반복하는 것이 아닌 다른 관점으로 어떤 대상을 바라보는 것부터 창의성이 시작된다고 강조했다.

 

 

 

 

I 창의성이 꼭 필요한 세계에서 살아갈 우리 아이들

 

“아이들이 미래사회에서 직면하는 모든 문제들은 창의적인 능력을 요구받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어릴 때부터 아이들이 창의성을 발견하고 길러주는 많은 경험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앞으로 우리 아이들이 자라서 살아갈 세계는 예측이 불가능하고, 지금보다 굉장히 복잡하고 도전적인 일들을 많이경험 할 텐데요. 이러한 세계를 살아갈 아이들에게 실제로, 혹은 실생활에서 매일 직면하는 삶이 결국은 창의성을  요구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실제 생활에서 해결해야 하는 문제들은 학교에서 배우는 지식이나 어떤 공식을 통해서 해결되는 경우보다는 삶이나 현재 상황의 맥락 속에서 해결하는 것들이 많기 때문에 아이들에게 실제 요구되는 능력은 어떤 대상을 다르게 볼 수 있는 관찰력, 민감성, 유연성, 융통성, 그리고 개방적인 사고들이다. 이런 특성들이 바로 창의성을 발현하게 하는 중요한 능력이나 요소이고, 새로움에 대한 도전의식, 개방적이고 유연한 사고가 동반되지 않으면 창의성을 갖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I 창의성에 대한 우리의 흔한 오해들

 

 

이선영 교수는 흔히 부모들이 창의성에 대한 잘못된 인식과 오해 하고 있는 부분을 2가지로 요약해 설명해주었다.

 

 

“대체로 창의성은 타고난 것이라고 생각하면서 당연히 어린 시절부터 빨리 보일 것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 창의성을 연구한 많은 학자나 교육학자들은 평생 동안 발달과정을 통해 성인기 이후에 드러나는 것이 창의성이며, 어린 시절부터 나타나는 결과물이나 사고양식이 아니라고 합니다.”

 

만약 창의성이 타고난 것이라고 굳게 믿는다면, 아이에게 창의적인 무언가를 빨리 해내길 기대하게 되는 데, 이런

기대감이 보이지 않을 경우 부모는 아이에게 실망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실제 창의성은 어린 시절부터 발현되는 것이 아니다. 장기간에 걸쳐 수많은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성인이 되었을 때 비로소 결과로 보여지는 것이 바로 창의성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창의성이 공부를 잘하는 것과 상관이 있다고 생각하는 분들 많아요. 공부를 잘해야 창의적이라고 생각하기 쉬운데, 공부를 잘하는 학생들과 창의적인 학생들을 비교해 보면 유사한 특성보다는 다른 특성들을 많이 가지고 있습니다.”

 

공부를 잘 하는 학생의 경우 정확한 답을 도출하는 수렴적 사고를 좋아하고 능숙한 편입니다. 반면에 창의적인

한 가지 정확한 답을 도출하는 것보다 다양한 방식으로 여러 가지 생각들을 할 수 있는 확산적 사고에 능숙합니다. 공부를 잘 하는 학생들이 실수하지 않고 꼼꼼하고 세부적인 것이 능숙하다면, 창의적 학생들은 세부적 사항보다는 전체적이고 종합적으로 사고하는 통찰력에 뛰어나다고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부모들이 ‘꼭 공부를 잘해야만 창의적이다’라는 생각에서 벗어나야하고, 아이들이 보이는 창의적인 성향이나 능력들은 학교 공부에서 요구하는 능력과는 조금 다를 수 있다는 것들을 조금 이해해 주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I 창의성을 길러주기 위해 부모가 해줘야 하는 것들

 

 

“아이의 창의성을 길러주기 위해서는 부모님이 좋아하시는 것이 아닌 아이들이 좋아하는 것을 발견해주고, 이를 개발하고 지원해주고 격려해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창의성은 실제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학습능력보다는 조금은 독특한 성향이나 특성을 요구하는 데, 이 특성들이

학교나 사회에서 좋아하는 특성이나, 능력, 성향은 아니다. 이런 상황 때문에 창의성을 발현하는 데에 많은 편견과 장애물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것을 극복 할 수 있는 힘이 바로 아이 스스로 좋아하는 것을 하는 것이다.

 

이런 장애물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부모가 좋아하는 일을 권장하거나 격려하기 보다는 아이들이 정말 좋아하는 일을 발견해주고 개발할 수 있도록 시간이 조금 걸리더라도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고 지지해주고 기다려줘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이선영 교수는 아이가 창의성을 꾸준히 기르기 위해서 부모의 인내심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창의성은 오랜 시간 동안 시행착오를 통해서 길러지고 발현되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무엇보다도 자녀를 키우시는 부모님들께서는 인내심이 필요합니다. 일반적으로 창의성이 높은 아이들은 공부를 잘하는 아이들보다 학교에서

환영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창의성은 단기간에 공부를 하거나 암기, 혹은 반복학습을 통해 드러나는 것이 아니라 오랜 시간 동안 노력하고 자신이 좋아하는 일에 열정과 몰입을 통해 수많은 시행착오를 거쳐 나오는 것이기 때문에 인내심을 갖고 아이가 보일 수 있는 창의성을 발견하고 개발하는데 많은 시간을 할애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I 부모가 창의성을 길러주기에 효과적인 시기

 

 

이선영 교수는 창의성이 성인기에 발현되지만, 자녀의 창의성을 길러주기에 가장 효과적이고, 부모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시기를 자녀의 어린 시절, 즉 아동기라고 강조했다.

 

“아이들이 학교에 들어가게 되면 교사나 또래 친구들을 만나게 되고, 교사와 친구들이 굉장히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가정의 역할이나 부모님의 역할이 가장 결정적일 때는 아동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창의성은 어린 시절에 발현되기보다는 성인기에 발현되는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좀 더 장기적인 관점에서 지켜보고 길러주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다시 말해 아동기에는 창의적 결과물이 보여지는 것이 아니라 창의적인 잠재성이기에 부모로서 관심을 갖고 장기적으로 살펴주어야 하는 부분인 것이라고 한다.

 

 

 

 

 

I 자녀의 창의성을 망치는 부모의 말과 행동

 

 

이선영 교수는 대다수의 아이들이 창의적인 사고를 포기하거나 기존 방식에 순응하는 경우가 많다고 우려하며, 자녀의 창의성을 저해하는 말과 행동을 피해야 한다고 한다.

 

자녀의 창의성을 망치는 행동

1. 정답을 강요하고 강제하는 행동 및 답이 하나만 있다고 생각하는 사고방식

2. 단순 기억과 반복학습으로 보여지는 현재의 수행능력(성적)만 강조하는 경우

2. 순응하지 않고 남들과 다르게 생각하고 행동하는 것에 대해 불편하게 생각하고 거부하는 것

3. 결과를 빨리 보여주기를 원하며, 빨리빨리 결과를 보여주어야만 보상하는 행동

4. 시행착오와 실패에 대해 인정하지 않는 분위기

 

마지막으로 자녀의 창의성을 길러주기 위해 노력하고 고민하는 부모들에게 다음과 같이 조언을 하였다.

 

댓글 0
30개 (1/3페이지)